본문 바로가기

육아관련/육아정보

<아기가 우는 이유>

반응형

 

 

 

 

 

 

<아기가 우는 이유> 
 
아기의 유일한 의사표현은 바로 울음입니다. 어떤 아기는 하루에 5시간 정도 울기도 합니다. 우는 이유 중 대부분은 배고픔 때문이지만, 불편하거나 외롭거나 지루할 때도 웁니다.  
 
하지만 아기가 무엇 때문에 우는지를 알아내는 것보다 우는 것에 바로 응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울도록 내버려두면 점점 더 울음을 달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죠. 울 때마다 바로 바로 응해 주면 버릇이 나빠진다는 것은 무책임한 말입니다. 
 

1) 너무더워서
영아는 체온 조절 능력이 아직 없어서 몸이 쉽게 더워진다. 더운지 추운지를 알려면 목 뒤를 만져본다. 땀이 나거나 더우면 옷을 벗겨 주거나 이불을 젖혀 준다.
(아기는 열이 많아 덥게하시면 힘들어해요!!) 
 
2) 속이 불편해서
분유나 모유를 먹다가 공기가 들어가면 속이 불편할 수 있다. 아기를 안고 등을 부드럽게 문질러 주며 트름을 유도해 준다. 
 
3) 외로워서
대부분 아기들은 사람이 안 보이면 싫한다. 계속 옆에 붙어 있을 수가 없을 땐 큰 소리로 아기에게 말을 해서 안정감을 준거나. 엄마체취가 남아
있는 옷을 곁에 놓아둔다 (아빠가 입어도 된다.) 
 
4) 불안해서
영아 때는 빠는 것으로 불안감을 달랠 수가 있다. 아기에게 공갈 젖꼭지를 물리거나 깨끗한
손가락을 대주어 빨게 한다.  
 
5) 지루해서
아기가 뭔가 즐거운 일을 원할때가 있다. 아주 갓난아기라도 모빌이나 작은 장난감을 주면 금방 울음을 그치기도 한다.  
 
6) 너무 흥분돼서
너무 부산스럽거나 처음 보는 사람이 많으면 우는 경우, 포대기로 잘 싸서 조용한 방으로 가 살살 안고 흔들어 준다.  
 
 
 
육아에 대한 모든 것!
엄마들을 위한 공간, 육아상식♥
babycarestory.com 
 
 
 
<고집부리는 아이, 떼쓰는아이 달래는법!> 
 
아이들은 대개 24개월 즈음해서 떼를 쓰기 시작해요. 이 시기를 제1반항기라고 부르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운 세살,네살이 이 때입니다. 
 
아이들이 떼쓰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발달과정에 따라 독립성이 나타나는 시기를 겪거나욕구 불만인 경우가 있어요. 자신이 원하는것을 부모가 들어주지 않을 때 아이는 곧바로 떼를 써서 원하는것을 얻고자 하죠 이렇게 떼를 썼을 때 부모가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면 아이는 계속적으로 떼를 써 욕구 불만을 해소하려 한답니다. 
 
아이들이 떼쓰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바닥에 드러누워서 온몸을 마구 움직이며 떼를 쓰는 것부터 을 제대로 쉬지 않는 아이는 물론 울면서 화를 내며 분노발작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대부분 부모님들은 '이러다 내 아이가 정말 크게 다치면 어떡하나' 하는 마음에 무조건 아이의 요구를 수용하기도 하죠. 
 
이런 경우는 일시적으로 아이의 떼쓰기를 멈추게 할 수 있지만 이런 경험을 한 아이들은 계속 같은 행동을 반복할 것이에요. 이럴 땐 올바르게 달래야 하는데 먼저 아이가 왜 떼쓰는지 이유부터 파악하고 가능성 있는 가정을 세운 다음 아이에게 물어보도록 하세요. 
 
다음으로 아이가 떼쓰는 이유가 타당하다면 즉시 요구를 들어주는것도 필요한데 아이의 주장을 무시해서는 안돼요. 
 
때로는 신체적 제압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아이가 극도로 흥분해 공격적인 행동까지 보일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아이의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끔 하고 이 때 아이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면서 엄한 표정을 짓는 것이 좋아요.(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에 많이 나오죠~^^) 
 
또 아이가 떼쓰는것을 멈춘 뒤에는 적절한 훈육이 필요한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네가 이렇게 행동하면 좋을 것이다'라는 점을 반드시 알게 해줘야해요. 가장 중요한 점은 부모가 훈육에 관하여 확실한 주관을 가지고일관적인 태도를 취하여 주셔야 한다는 것이에요. 
 
떼쓰는 아이때문에 고민이신 부모님들~
아이가 떼쓴다고 무조건 들어주거나 무조건 혼내지 마시고 아이를 진정시킨 후에 아이의 요구가 타당하다면 들어주시고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을 토대로 훈육시키면 떼쓰는아이 올바르게 달래실 수 있답니다. 
 
* 출처 : 떼쓰는아이 달래는법

 

반응형